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축구대표팀 주장 손흥민(토트넘)의 ‘홈경기장 환경’에 대한 공개적인 아쉬움 표현이 결국 정책 변화를 이끈 걸까.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근 논란이 된 축구장 잔디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협력해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전국 27개 경기장의 잔디 상태를 전수 조사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난 25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요르단전 이후 손흥민이 밝힌 쓴소리와도 맞물린다. 당시 손흥민은 “홈에서 가장 좋은 환경에서 경기를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개선이 안 되는 것도 속상하다”며 “신경을 더 써주셨으면 좋겠다. 저희 더 잘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체부는 프로축구연맹 내에 잔디관리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일본 등 해외 선진 사례를 조사하는 등 본격적인 조치에 돌입했다. 오는 4월부터 K리그 경기장을 직접 조사해 상반기 내로 각 경기장의 잔디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맞춤형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경기장별 기후 조건과 특성을 고려해 노후 잔디 교체, 인조잔디 품질 개선, 열선 및 배수 시설 관리 등 실질적인 대책을 도출하고, 장기적인 유지관리 지침 마련과 현장 점검 강화 방안도 제안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그동안 선수들이 제기해온 잔디 문제와 직결된다. 손흥민은 “축구는 작은 디테일로 승부가 결정된다”며 “더 좋은 조건이 제공된다면 선수들이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대표팀은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전반 5분 선제골을 넣었지만, 전반 30분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에 그쳤다. 손흥민은 결과에 대해 “아쉬운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멀리서 온 친구들이 버스에서 졸며 시차 적응도 못 하고 뛰는 걸 보면 대견하고 안타깝다”고 말해, 환경 개선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와 더불어 ‘공공 체육시설 개·보수 지원 공모사업’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축구장 잔디 교체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며, 전수 조사 대상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경기장 잔디 상태는 선수들의 경기력뿐 아니라 부상 방지, 팬들의 관람 만족도 등 경기 전반의 질과 직결된다”며 “지속적인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프로축구연맹, 구단, 운영 주체들과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잔디는 축구 경기의 기본 인프라이자 선수들의 안전과 직결된 요소다. 이번 조치가 단발성 대책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점검과 지속적인 투자, 운영 주체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국가대표팀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경기장 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 체계 전반의 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