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축구는 언제나 예상과 현실이 다르다는 걸 증명하는 스포츠다. 그리고 이번 하나은행 K리그1 2025 개막전은 그 점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15일과 16일 이틀 동안 펼쳐진 개막 라운드는 그야말로 혼돈이었다. 시즌 개막 전 우승 후보로 거론되던 강팀들이 휘청거렸고, 승격팀과 중위권 팀들이 예상 밖의 돌풍을 일으켰다. "강자는 없다." 이번 개막전이 던진 가장 강렬한 메시지다. 강호들의 흔들림, ‘왕좌’는 누구에게 허락될 것인가 울산 HD는 K리그1 4연패라는 위업에 도전하는 팀이다. 그리고 FC서울은 거대한 스쿼드 보강으로 ‘울산의 대항마’로 떠오른 팀이었다. 그러나 개막전이 끝난 지금, 두 팀은 그 무게에 짓눌린 듯한 모습이다. 울산은 승격팀 FC안양에게 후반 추가시간 모따의 ‘한 방’에 무너졌다. 점유율 72%, 파상공세에도 불구하고 결국 득점 없이 무너진 울산. 울산을 상대했던 팀이 신생 승격팀이라는 점에서 이 패배는 더욱 뼈아프다. 서울 역시 제주SK에 0-2로 완패했다. 김진수, 문선민, 정승원 등 대표급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달라진 서울’을 기대했던 팬들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제주 SK FC가 2025시즌을 앞두고 선수단의 등번호를 확정했다. 제주는 30일 공식 발표를 통해 "선수들의 자율적인 협의를 거쳐 새로운 시즌의 등번호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배번 결정 과정에서는 기존 번호를 유지하는 선수들이 많았으며, 일부 선수들의 등번호 이동도 이뤄졌다. 특히, 최근 은퇴를 선언한 구자철의 상징적 등번호 7번은 2019년 제주에 입단한 공격수 서진수가 이어받게 됐다. 서진수가 사용했던 14번은 미드필더 김건웅이 선택했으며, 김건웅의 기존 등번호였던 8번은 병역 의무를 마치고 복귀하는 이창민에게 돌아갔다. 올해 제주에 새롭게 합류한 베테랑 공격수 박동진은 과거 프로 무대에서 주로 사용했던 50번을 다시 선택하며 친숙한 번호와 함께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김학범 제주 감독은 "선수들이 배번을 정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신뢰와 팀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서진수처럼 선배들의 정신을 이어받으며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는 모습에서 희망을 봤다"고 전했다. 한편, 제주 유나이티드는 2025시즌 K리그1 개막을 앞두고 본격적인 담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인턴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제주 SK FC가 김재우(26)를 영입하며 수비진에 힘을 더했다. 지난해 대전하나시티즌 소속으로 활약한 김재우는 김학범 감독의 부름을 받고 제주 유니폼을 입었다. 김재우는 17일 공식 발표를 통해 제주의 새로운 센터백으로 합류했다. 187㎝의 신장을 가진 그는 영등포공고 3학년이던 2016년, 오스트리아 SV 호른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년 6개월간 호른에서 활동한 그는 2018년 K리그2 부천FC로 이적하며 국내 무대에 등장했다. 부천에서 활약한 뒤 K리그1 대구FC로 옮긴 김재우는 2022년 대전에 입단하며 다시 한 번 도약의 기회를 잡았다. 2023년에는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7월 대전으로 복귀했다. 그의 K리그 통산 기록은 K리그1에서 40경기 1골 1도움, K리그2에서 73경기 3골 5도움을 기록하며 총 116경기 4골 6도움의 성적을 남겼다. 김재우와 김학범 감독의 인연은 각별하다. 김 감독은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23세 이하 대표팀 지휘봉을 잡으며 김재우를 주축 수비수로 기용했다. 이번 영입으로 제주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한국 축구 대표팀의 중원을 책임졌던 '레전드' 구자철(35·제주 유나이티드)이 26년간의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1일 제주 유나이티드 구단 관계자는 “구자철이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구자철이 이미 지도자 자격증 B급을 취득했고, A급과 P급 자격증 취득도 계획하고 있다”며 “은퇴 후 구단 내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는 계속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구자철은 초등학교 4학년 시절 축구를 시작해 프로 선수로서의 첫발을 디딘 2007년부터 꾸준히 활약하며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미드필더로 자리 잡았다. 2007년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3순위로 제주에 입단한 그는 데뷔 시즌부터 16경기에서 1골 2도움을 기록하며 재능을 인정받았다. 같은 해 아시아축구연맹(AFC) U-19 챔피언십 예선을 통해 연령별 대표팀에 발탁됐고, 2008년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11년 아시안컵에서 5골로 득점왕에 오른 그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볼프스부르크와 계약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이후 마인츠와 아우크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