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곽중희 기자 | 서울시설공단은 11일 '2025년 전국 축구경기장 협의회'를 열고, 축구경기장 잔디 품질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서울시설공단을 비롯한 전국 주요 경기장 운영 기관과 대한축구협회, 한국프로축구연맹 등 12개 기관의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이상기후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방안, 경기장 인프라 개선, 그리고 잔디 그라운드 관리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잔디 상태가 좋지 않으면 즉시 교체하고, 잔디 생육을 지원하는 전문 장비와 관리 인력을 강화하여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한국 축구는 과연 대륙 최고 대회를 개최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대한축구협회(KFA)는 최근 2031년 아시안컵 유치를 공식 선언했다.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은 연임 성공과 동시에 유치 의향서를 제출하며 대회 개최를 향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정작 국내 K리그 경기장에서는 잔디 상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축구 경기의 기본 요소인 잔디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아시안컵 유치는 과연 실현 가능한 목표일까? K리그 잔디는 '지뢰밭'? 선수들 부상 공포 확산 최근 FC서울과 김천 상무의 K리그1 3라운드 경기가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최악의 잔디 상태로 선수들의 불만을 샀다. 서울 공격수 제시 린가드는 패인 잔디에 걸려 넘어졌고, 선수들은 경기 내내 불균형한 그라운드에서 애를 먹었다. 서울 김기동 감독도 "잔디 문제는 시즌 개막전부터 제기됐다"며 "조기 개막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얼어있는 잔디가 많고, 이는 선수들의 부상 위험을 키운다"고 우려를 표했다. 팬들도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에는 "이런 잔디에서 어떻게 정상적인 경기가 가능하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