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이슈보도팀 | 국가대표 출신 전 프로야구 선수 오재원(39)이 수면제를 대리 처방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4단독 유동규 판사는 12일 마약류관리법 위반(향정) 혐의로 기소된 오재원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추징금 2,365만 원을 명령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유명 야구선수라는 지위를 이용해 거절하기 어려운 후배들에게 처방을 요구했다"며 "범행이 3년 이상 지속됐고, 수수한 수면제 양도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오재원은 2021년 5월부터 2024년 3월까지 86차례에 걸쳐 전·현직 야구선수 14명에게 스틸녹스와 자낙스 2,365정을 처방받게 한 뒤 이를 전달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오재원이 야구계 선배라는 위치를 이용해 20대 초중반의 어린 선수나 1군과 2군을 오가는 선수들에게 수면제 처방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일부 후배들에게 욕설과 협박까지 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재원은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로 이번이 세 번째 기소됐다. 그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11차례 필로폰을 투약하고, 지인으로부터 스틸녹스 2,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프리미어리그(PL) 심판 데이비드 쿠트가 감독 욕설 영상과 마약 흡입 의혹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끝에 퇴출당했다. 영국 공영방송 BBC는 잉글랜드프로경기심판기구(PGMOL)가 쿠트를 해고했다고 10일(한국시간) 보도했다. PGMOL은 "쿠트의 행위는 고용 계약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드러나 심판 지위를 유지할 수 없다"며 해고 이유를 밝혔다. 쿠트는 지난달 위르겐 클롭 전 리버풀 감독을 비난하는 듯한 영상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포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해당 영상에서 쿠트로 추정되는 인물은 클롭 전 감독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원색적인 욕설과 함께 비난을 퍼부었다. 논란이 커지자 PGMOL은 지난달 11일 쿠트를 정직 처분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이틀 뒤, 영국 대중지 더선은 쿠트의 마약 흡입 의혹을 제기하며 사건을 더욱 증폭시켰다. 더선은 쿠트로 보이는 남성이 지폐를 말아 흰 가루를 흡입하는 사진을 공개하며, 이 사진이 지난여름 유로 2024 대회에서 촬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PGMOL은 이 의혹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입장을 밝혔고, 유럽축구연맹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검찰이 수면제를 대리 처방한 혐의로 기소된 국가대표 출신의 전 프로야구 선수 오재원(39)씨에게 1심에서 징역 4년을 구형했다. 검찰은 19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4단독 유동규 판사 심리로 열린 오씨의 결심 공판에서 징역 4년과 추징금 2천300여만원을 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오씨는 최후진술에서 "수용 기간 수면제에 손대지 않았고, 단약 의지를 갖고 있다"며 "반성하면서 용서를 구한다"고 울먹였다. 오씨는 2021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86회에 걸쳐 전현직 야구선수 등 14명에게 의료용 마약류인 스틸녹스와 자낙스 2천365정을 처방받게 한 뒤 전달받은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오씨가 야구계 선배의 지위를 이용해 20대 초중반의 어린 후배나 1∼2군을 오가는 선수 등에게 수면제를 처방받아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파악했다. 오씨는 이 과정에서 일부 후배들에게 욕설과 협박까지 한 것으로 조사됐다. 선고 기일은 다음 달 12일이다. 오씨가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오씨는 앞서 2022년 11월~2023년 11월 11차례 필로폰을 투약하고, 지인으로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이슈보도팀 |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두산 베어스 선수 8명에게 향정신성 약물 대리 처방 혐의로 사회봉사 80시간의 처분을 내린 가운데, 이 사건은 스포츠계의 뿌리 깊은 권위주의와 비민주적 지배구조가 초래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선배의 강압에 따른 불법적 지시를 거부하지 못한 선수들, 묵인과 은폐로 이어진 사태에 대한 책임 소재, 그리고 이를 방치한 구단과 리그의 대응까지, 이번 사건은 스포츠계가 진정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실현하는 데 얼마나 미흡한지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KBO는 5일 상벌위원회를 통해 김민혁, 김인태, 박계범 등 두산 소속 8명이 오재원의 강압으로 인해 병원에서 향정신성 약물을 대리 처방받아 전달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KBO 규약 제151조 ‘품위손상행위’에 근거해 사회봉사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 KBO는 선수들이 거부하기 어려운 압력 하에 있었다는 점과 구단 조치로 인해 시즌 경기에 출전하지 못한 점을 고려해 출장 정지 대신 사회봉사로 대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선수들이 단순히 잘못된 결정을 내린 문제를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