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충북 청주시체육회의 특정 인사 채용을 둘러싼 논란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원칙을 위배하는 사례로 지적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공공 체육시설 운영권을 위탁받은 과정에서의 투명성 부족과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지방 체육행정이 보다 책임 있는 운영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공성을 강조해야 할 체육시설 운영, ‘사적 네트워크’의 도구?
청주시체육회는 지난 1월 1일부터 3년간 가덕·내수생활체육공원의 운영권을 위탁받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특정 인사를 위한 자리 마련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시체육회는 최근 두 공원을 관리할 기간제 근로자 8명을 채용했는데, 그중 김진균 청주시체육회장과 가까운 A씨가 포함됐다. 더욱이 A씨는 유일하게 관리직급인 ‘소장’ 직책을 받으며 다른 근로자보다 높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김 회장의 선거 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한 인물로, 체육회 사무국장 자리에 내정되었으나 임명되지 못한 바 있다. 이에 지역 체육계에서는 체육회가 공공 체육시설 운영권을 수탁받아 A씨를 위한 별도 직책을 만들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이번 채용으로 그 소문이 현실화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ESG 원칙과 정면 배치되는 청주시체육회의 운영 방식
최근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ESG 원칙 준수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지배구조(Governance)’ 원칙에서는 투명한 경영과 공정한 인사 정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청주시체육회의 이번 채용 논란은 이러한 원칙과 배치된다.
ESG 경영이 강조하는 핵심 가치는 공정성, 투명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이다. 공공 체육시설 운영권을 위탁받은 시체육회는 공정한 절차를 통해 지역 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특정 인사 채용을 위한 구조 변경 의혹이 제기되면서 체육회의 사회적 신뢰도는 흔들리고 있다.
일각에선 “공공 기관이나 위탁 기관은 ESG 원칙을 준수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며 “청주시체육회가 이번 논란을 계기로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 체육시설 운영, 누구를 위한 것인가?
청주시체육회의 사례는 단순한 특정 인사 채용 논란을 넘어, 공공 체육시설이 과연 누구를 위해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체육시설은 시민의 건강 증진과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공공재다. 특정 인사의 자리 마련이 아닌, 체육시설 운영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청주시체육회는 이에 대해 “공정한 절차를 거쳐 채용이 이루어졌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체육회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강화하는 구조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체육시설 운영은 단순한 시설 관리 차원을 넘어, ESG 시대에 맞는 지속가능한 운영 모델을 고민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