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이슈보도팀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지난 19일 발생한 연구원 3명 질식 사망 사고가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과제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사고는 기업의 안전관리 체계와 근로 환경에 대한 근본적 점검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현대차는 사고 직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고 원인의 조속한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번 사고는 단순한 사후 대책 발표를 넘어, 근로자 안전과 관련된 체계적인 ESG 경영 실천의 부족함을 보여준다.
현대차는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3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하며, 총 5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이 같은 사고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데 있어 안전 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다시 한번 부각시킨다. 특히, 밀폐된 체임버에서 발생한 이번 사고는 기술적 설비와 안전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체계적 관리의 부재를 드러냈다.

사고는 울산 북구 현대차 울산공장 전동화품질사업부 내 차량 성능 테스트 공간(체임버)에서 발생했다. 연구원들은 차량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던 중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질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망자는 현대차 소속 연구원 2명과 협력업체 소속 연구원 1명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목격자 등을 상대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고용노동부는 작업 중지 명령과 함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사고 조사를 넘어 기업 경영의 사회적 책임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현대차는 "이번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필요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겠다"며 "안타까운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반복되는 사고는 기업의 ESG 실천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
ESG 경영의 '사회(Social)' 영역은 근로자의 안전과 복지, 공정한 환경 조성을 핵심으로 삼는다. 현대차가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안전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은 ESG 경영 강화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또한, 협력업체와의 상생 차원에서 외주 근로자 안전 관리에도 동등한 수준의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차 울산공장 질식 사고는 ESG 경영의 실질적 이행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투자와 개선이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기업의 신뢰와 가치를 높이는 필수 요소임을 인식해야 할 시점이다.
현대차가 이번 사고를 계기로 ESG 경영 강화를 통해 안전한 근로 환경 조성에 앞장서기를 기대한다.
글=최민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