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지난 4일 새벽,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사태로 전국민이 혼란스러워 할 때. K리그 팬들이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을 것이다. 바로 전북 현대와 서울 이랜드가 맞붙는 승강 플레이오프(PO) 2차전의 진행 여부였다.
올 시즌 K리그는 정규리그가 모두 끝났고, 8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릴 승강PO 2차전만 남아 있었다. 1차전에서 전북은 2-1로 승리한 상태다. 그러나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경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될지 여부에 대해 많은 팬과 관계자들이 궁금해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홍보팀장 양송희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대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전화가 저한테만 열 통 넘게 왔습니다."라며 팬들의 불안한 마음을 전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는 '계엄령이기 때문에 경기가 불가능하다'는 의견부터, '낮이라면 경기를 진행할 수 있지 않냐'는 의견까지 다양한 추측이 오갔다.
한 프로축구단 관계자는 "그냥 전북과 이랜드가 내년에 모두 1부에서 뛰는 게 어떻겠냐"며 "어차피 화성FC가 프로에 진입하니 2부 구단 수를 기존대로 맞출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프로축구연맹은 관련 문의가 빗발쳤다. 다행히도 비상계엄은 단 6시간 만에 해제됐다. 하지만 만약 계엄령이 계속 유지되었더라면 승강PO 2차전이 진행 됐을까?
프로축구연맹을 포함한 4대 프로 스포츠 기구는 계엄을 가정한 리그 운영 방법을 규정에 명시하고 있지 않다. 그나마 관련 규정으로는 제30조 '경기중지 결정'이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경기 전이나 중에 중대한 불상사 등으로 경기를 계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경기를 중지할 수 있다. 제31조 '불가항력으로 인한 경기 취소·중지 및 재경기'에서도 경기 취소 사유에 천재지변 외에도 기타 불가항력적인 상황이나 관중의 안전이 우려되는 긴급한 상황을 언급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 관계자는 "프로축구 출범 후 계엄은 처음이라 관련 규정도 없다"며 "상황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코로나19 당시에는 긴급 이사회를 통해 경기 개최 여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사 포고령에 경기 중단 등의 조치가 포함되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경기를 진행한다는 대원칙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야구위원회(KBO) 역시 비슷한 상황을 겪을 수 있다. KBO리그 규정 제8조에 따르면 천재지변 또는 이에 준하는 사정이 발생하면 경기 중지 여부를 총재가 결정하게 되어 있다. KBO 관계자는 "경찰에서 북한 오물 풍선이 야구장에 떨어지면 경기 중단과 안전한 관중 퇴장을 요청한 적도 있다"며,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사회적인 조치에 따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프로농구 KBL과 한국배구연맹(KOVO)도 비상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두고 있다. 배구연맹 관계자는 "국가 비상사태나 천재지변이 발생하면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 리그 중단 여부를 논의한다"며 "계엄령 선포 상황을 지켜보며 오늘 오전 긴급회의를 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준비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계엄 하에서 많은 인파가 모이는 스포츠 경기를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경기장에 운집한 팬들이 순식간에 집회나 시위 세력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계엄사령부의 통제력을 초과할 수 있어, 경기를 강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
결국, 비상계엄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K리그 승강PO 2차전은 예정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번 일과 같은 사태에 대비해 프로축구연맹을 비롯한 스포츠 기구들은 불가피한 상황에 대비할 규정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글=최민준 인턴기자
▶TSN 코리아 이슈보도팀 제보하기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info@tsnkorea.kr
▷ TSN TV & SNSJTV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