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5.3℃
  • 맑음서울 7.6℃
  • 구름많음대전 8.9℃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5.4℃
  • 흐림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7.7℃
  • 맑음고창 4.3℃
  • 구름많음제주 7.2℃
  • 맑음강화 3.7℃
  • 구름조금보은 4.7℃
  • 맑음금산 8.0℃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9℃
기상청 제공

ESG

다보링크, ‘실리콘 음극재’ 도전… 전기차 배터리 혁신

전기차 성능 대폭 개선 목표…글로벌 시장 정조준
나노 실리콘·그래핀 복합 기술로 충전 시간 단축
11월 26일 임시주총서 신사업 본격화 예정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이슈보도팀 | 다보링크(코스닥 340360, 대표이사 임상현)가 전기차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부상하고 있는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다보링크는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구현을 위해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과 협력해 이차전지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에너지 시장 전문조사기관 SNE리서치는 2035년까지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85%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글로벌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역시 약 81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리콘 음극재의 수요 또한 2023년 1만 톤에서 2035년에는 28.5만 톤으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는 흑연 음극재는 에너지 밀도와 충전 속도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반해 실리콘은 흑연 대비 에너지 밀도가 10배 이상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리튬이온 흡수로 인한 부피 팽창 문제로 인해 안정성 유지가 어려웠다. 현재로서는 5%의 실리콘만 첨가가 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다보링크는 기술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나노 크기의 실리콘 입자와 그래핀, 탄소나노섬유 복합 프레임을 통해 음극재의 부피 팽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이를 통해 전기차 주행거리 연장과 충전 시간 단축은 물론, 제조 원가 절감 효과까지 누린다는 전략이다.

 

 

 

20일 다보링크 본사에서 열린 신규사업 IR 발표에서, 다보링크 측은 “국내 연구기관과 협력해 나노 크기의 실리콘 입자와 복합 프레임 기술로 음극재 부피 팽창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의 5%보다 훨씬 높은 수치인 최소 30% 이상의 실리콘을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기술은 충전시간 단축과 주행거리 연장 등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다보링크 관계자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폭발 위험을 줄이는 등 안전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보링크는 오는 26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신사업 관련 정관 변경과 전문가 선임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설 예정이다.

다보링크 관계자는 “박성규 사내이사 후보자의 주도로 진행되는 이번 신사업은 기업의 성장과 시장 내 입지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임시주총을 통해 주주의 동의를 얻게 되면,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9년 코스닥 상장사로 자리 잡은 다보링크는 기존에 단말장치(WIFI 제품 및 솔루션) 사업을 중심으로 국내 통신사와 공공기관에 공급해 왔다. 이번 실리콘 음극재 사업 진출을 계기로, 기존 사업에 새로운 동력을 더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