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기사, 영상) | "파울이든 아니든, 결정을 내리기까지 6분이나 필요한가?" 토트넘 홋스퍼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VAR(비디오판독) 시스템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4일(한국시간) 영국 런던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열린 2024-2025 프리미어리그(PL) 30라운드 토트넘과 첼시의 경기 후,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VAR이 경기를 망치고 있다"고 분노했다. 이날 경기에서 토트넘은 0-1로 패배했지만, VAR 덕분에 실점을 막고도 몇 가지 중요한 순간에서 불운을 겪었다. 후반 11분, 첼시의 모이세스 카이세도의 발리슛이 골망을 흔들었으나, VAR 판독 결과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기회를 놓쳤다. 후반 24분에는 토트넘의 파페 사르가 카이세도와의 경합 후 첼시 골대로 질주해 골을 넣었으나, VAR 결과 사르가 카이세도의 무릎을 걷어찬 것으로 확인돼 골이 취소되고 경고를 받았다. 경기 후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VAR 판정 과정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며, "심판이 VAR을 통해 결정을 내리기까지 6분이나 필요하다면, 그게 과연 '명백하고 확실한' 판정이라 할 수 있느냐"고 질타했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2022 카타르 월드컵의 신기술이 잉글랜드로 향한다. 프리미어리그(PL)가 오는 12일부터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SAOT)을 도입한다. PL 사무국은 2일, 2024-2025 시즌 32라운드부터 SAOT 시스템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첫 번째로 이 기술이 적용되는 경기는 12일 오후 8시 30분에 시작되는 맨체스터 시티와 크리스털 팰리스의 경기다. SAOT는 오프사이드 판정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비디오판독심판(VAR)의 판정을 보조한다. 이 시스템은 여러 카메라를 이용해 공과 선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오프사이드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VAR에게 알린다. 이를 통해 판정 시간이 단축되고 정확도가 높아진다. PL은 SAOT 기술이 오프사이드 판정의 속도, 효율성, 일관성을 개선하며 절차의 무결성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SAOT는 이미 FIFA가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처음 도입했으며, 지난해 AFC 아시안컵에서도 사용됐다.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이탈리아 세리에A, 스페인 라리가 등 다른 리그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PL 구단들은 지난해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잉글랜드축구협회(FA)는 오는 3월 1일 열리는 2024-2025시즌 FA컵 5라운드에서 SAOT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4일(한국시간) 발표했다. 이번 5라운드에서 프리미어리그(PL) 구단 경기장에서 치러지는 7경기에서는 SAOT가 적용될 예정이다. FA는 "FA컵에서 SAOT를 성공적으로 운영한 뒤, 이번 시즌 후반 PL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AOT는 다수의 추적 카메라를 이용해 공과 선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한 후, 오프사이드가 발생하면 즉각 비디오판독(VAR) 심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판정 속도를 높이고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SAOT를 도입했다. 이후 2024년 초 카타르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에서도 활용되며 기술의 신뢰도를 입증했다. 잉글랜드에서는 원래 2024-2025시즌 PL부터 SAOT를 도입할 계획이었다. PL 구단들은 지난해 4월 만장일치로 SAOT 도입을 결정하고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