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2034 월드컵 사우디 개최..."FIFA 결정, 많은 생명 위협할 것"

  • 등록 2024.12.12 17:15:34
크게보기

국제앰네스티, FIFA에 "적절한 인권 보호 조치 없이 개최권 부여"
풋볼서포터스유럽그룹 "축구가 진정한 정신 잃었다"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이슈보도팀 | 사우디아라비아가 인권·일정 등의 걸림돌에도 2034년 FIFA 월드컵 단독 개최지로 확정되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FIFA는 11일(현지시간) 211개 회원국이 참여한 화상회의 임시 총회에서 2030년과 2034년 월드컵 개최지 선정 안건을 의결했다.

 

2030년 대회는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3개국이 공동 개최하며, 2034년 대회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다. 두 대회 모두 단독 후보로 선정된 만큼 사실상 개최는 확정된 상태였다.

 

2030년 대회는 FIFA가 지난해 10월 평의회에서 3개국 공동 개최를 결정했다. 또한, 월드컵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도 일부 경기가 진행된다. 1930년 제1회 월드컵 개최지였던 우루과이의 몬테비데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는 대회 개막전이 열릴 예정이다.

 

이는 2026년 미국·캐나다·멕시코 공동 개최 이후 두 대회 연속 3개국 이상이 월드컵을 함께 여는 사례가 된다.

 

2034년 대회의 경우 애초 사우디, 호주, 인도네시아가 경쟁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인도네시아가 지난해 10월 사우디 지지를 선언했고, 호주도 유치전에서 철회하며 사우디만이 단독 후보로 남았다. 이에 FIFA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2034년 월드컵은 아시아에서 열릴 것"이라며 사실상 사우디 개최를 축하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성 인권 탄압과 언론의 자유 억압 문제 등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사우디가 월드컵을 '스포츠 워싱'의 도구로 활용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국제앰네스티의 스티브 콕번 노동 인권 및 스포츠 책임자는 "적절한 인권 보호 조치 없이 월드컵 개최권을 사우디에 부여한 FIFA의 결정은 무모하며 많은 생명을 위협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풋볼서포터스유럽그룹도 "축구가 진정한 정신을 잃었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아시아에서는 2002년 한일 월드컵과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이후 통산 세 번째로 월드컵이 열린다. 사우디 대회는 중동 지역의 더위 탓에 여름 대신 겨울 개최가 유력하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도 11월~12월 사이에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사우디는 2034년 하계 아시안게임을 11월 29일부터 12월 14일까지 유치해 월드컵 개최 시점이 1월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2034년 2월에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동계 올림픽이 열릴 예정이지만, IOC는 "동계올림픽과 월드컵이 상업적이나 운영 측면에서 큰 문제가 없다"고 밝혀 사우디의 부담을 덜었다.

 

다만, 겨울 개최는 유럽 축구 리그의 시즌 한가운데 일정 중단을 초래해 유럽 축구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글=최민준 인턴기자

이슈보도팀 기자 info@tsnkorea.kr
Copyright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Corp. All rights reserved.